글로벌 기업의 협력사 요구 트렌드 - 2

협력사의 대응 방향 및 한계
글로벌 기업의 협력사 요구 트렌드 - 2

1번에서는 글로벌 기업의 요구 트렌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
2번 포스트에서는 실제 우리 협력사가 요구 대응을 위해 어떤 준비를 시작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

공급망 내 협력사들이 주요 완성차 회사들의 환경 관리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방안들을 다음과 같습니다.

1. 탄소 배출 관리 및 감소

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확대: 제조 공정에서 태양광, 풍력 등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안을 도입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BMW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 시 100%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할 것을 요구합니다 .

에너지 효율화: 고효율 장비 도입과 공정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 공정별 에너지 소비를 모니터링하고,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합니다.

2. 친환경 자재 사용

재활용 및 재사용 자재: 제품에 재활용 소재와 재사용 가능한 자재를 적용합니다. BMW는 배터리 생산에 재활용 니켈, 리튬, 코발트를 사용하고 있으며, 미래 제품에서는 이 비율을 더욱 높일 계획입니다 .

저탄소 자재 사용: 저탄소 강철과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BMW는 알루미늄의 경우 태양광 전력을 사용해 생산된 자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.

3. 탄소 배출 성과 모니터링 및 보고

정기적인 탄소 배출 성과 보고: 환경 관련 성과를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체계를 마련합니다. 투명한 데이터 관리는 신뢰성을 높이고, 주요 고객사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습니다.

데이터 디지털화: 공급망 내에서의 탄소 배출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. BMW는 Catena-X를 통해 공급망 전체의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있습니다 .

4. 윤리적 노동 관행 준수

공정한 노동 조건 보장: 모든 근로자에게 안전하고 공정한 노동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 윤리적 노동 관행을 준수하고, 관련 인증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지역사회와의 협력: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는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, 지역사회의 신뢰를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5. 순환 경제 원칙 적용

자원 재사용 극대화: 제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재활용과 재사용을 고려한 순환 경제 원칙을 적용합니다. BMW는 차량 생산에 있어 최대한의 재활용 자재 사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.

폐기물 관리 최적화: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, 발생된 폐기물은 재활용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.

6. 협력사와의 긴밀한 협력

공급망 내 협력 강화: 주요 완성차 회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ESG 목표를 공유하고,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입니다. BMW는 주요 공급업체들과의 계약에 CO2 감축 목표를 포함하여 관리합니다 .

교육 및 훈련: ESG 관련 지식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, 직원들이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하지만 국내 산업계 현실로 비추어보면 이러한 대응들을 협력사 스스로 준비하고 대응하기
어려운 점이 많습니다.

그 이유는 아래와 같은데요.

1. 높은 초기 투자 비용

재생 가능 에너지 전환 비용: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패널, 풍력 터빈 등의 설치와 같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매우 높습니다. 예를 들어, 국내 기업은 이러한 고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.

고효율 장비 도입 비용: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효율 장비와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지만, 이러한 장비들은 초기 비용이 매우 비쌉니다. 특히 기업은 이러한 자본 지출에 큰 부담을 느낍니다 .

2. 기술력 부족

친환경 기술 개발 및 도입의 어려움: 국내 기업들은 친환경 기술을 개발하거나 도입하는 데 필요한 전문 인력과 기술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. 이는 신기술 도입과 관련된 연구개발(R&D) 투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.

재활용 및 순환 경제 기술 부족: 재활용 자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순환 경제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력이 부족하여,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가 어렵습니다 .

3. 공급망의 복잡성 및 협력의 어려움

공급망 내 협력의 부족: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ESG 목표를 공유하고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. 이는 국내외 협력 체계가 충분히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.

데이터 디지털화 및 관리의 어려움: 공급망 내 탄소 배출을 포함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과 기술이 부족하여,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보고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.

4. 규제 및 정책 지원의 부족

정부의 지원 및 정책 부족: 국내에서는 친환경 기술 도입과 ESG 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정부의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이 충분하지 않아 기업들이 초기 투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.

복잡한 규제 환경: 복잡한 규제와 행정 절차로 인해 기업들이 신속하게 친환경 기술을 도입하고 ESG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.

5. 시장의 불확실성

경쟁력 약화 우려: 친환경 기술 도입과 ESG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을 투자하는 경우,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.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.

수요의 불확실성: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하여, 기업들이 높은 초기 비용을 투자하면서도 수익을 보장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.

그렇다면 지금 바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?

다음 포스트에서 현대자동차와 BMW의 사례를 들어 공급망 내 협력 부족과 데이터 디지털화 및 관리 효율화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.

Share article
Subscribe to our newsletter.

CarbonLink의 탄소 관리

RSS·Powered by Inblog